은근 돈 새는 정수기 사용 패턴(렌탈, 구매, 자가설치 비교)

정수기는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에 가깝다. 하지만 렌탈이냐 구매냐, 직접 설치냐를 놓고 고민하는 사람들은 여전히 많다. 나 역시 렌탈부터 자가설치까지 다 해본 입장에서, 실질적으로 어떤 방식이 비용과 편의성 면에서 나았는지 직접 겪은 내용을 바탕으로 비교해보려 한다. 수치로 따지고, 사용감으로 말하는 리얼 비교, 지금 시작한다.


렌탈 정수기, 편하긴 한데 덫도 있다

처음엔 다들 렌탈로 시작한다. 나도 그랬다. 브랜드는 유명한 ‘C사’. 계약은 3년. 한 달에 35,000원. 설치 기사님은 친절했고, 외관도 깔끔해서 기분이 좋았다. 문제는 1년이 지나면서부터였다.

첫 번째는 요금. 단순히 계산해보면 3년간 총 1,260,000원을 내는 셈이다. 그 돈이면 고급 정수기 하나 사고도 남는다. 게다가 중간에 해지하려면 위약금. 필터 교체가 늦는 경우도 있었고, 내가 원할 때가 아니라 '스케줄상' 오는 시스템도 답답했다.

두 번째는 기능의 과잉. 냉수·온수·미지근한 물까지 다 된다지만, 실제로 자주 쓰는 건 냉수뿐. 나머지는 결국 돈 주고 안 쓰는 옵션이란 얘기다. 말 그대로 렌탈은 "가장 편리하지만, 가장 비싼 선택"이다.


구매 정수기, 자율은 있으나 관리의 부담

렌탈에 지쳐서 3년 뒤엔 구매형 정수기로 갈아탔다. 60만 원 정도 되는 모델을 일시불로 샀다. 고를 땐 기능보다 필터 가격과 교체 주기를 먼저 봤다. 물맛은 렌탈과 다를 바 없었다. 만족했다.

하지만 문제는 관리. 필터 교체 시기를 까먹기 쉬웠고, 내부 세척도 내가 해야 한다. 뚜껑 열고 안을 보면 생각보다 물때가 금방 생긴다. 예민한 사람이라면 스트레스 받을 수 있다. 특히 여름엔 물탱크 내부 냄새 신경 쓰인다.

또 하나, 고장. A/S 기간은 1년. 그 이후엔 전부 유상 수리. 센서 하나 나가는데 8만 원 불렀다. 구매는 분명 경제적이지만, 귀찮음을 감수해야 한다.


자가 설치형 정수기, 생각보다 간단하고 돈도 아꼈다

최종적으로 내가 선택한 건 자가 설치형 직수 정수기였다. 인터넷에서 15만 원짜리 직수형 모델을 구입해서 직접 싱크대에 연결했다. 유튜브 보면서 설치했는데, 솔직히 30분이면 끝난다.

장점은 경제성. 필터는 3개월마다 2만 원. 연간 유지비가 8만 원 정도다. 초기 비용 포함해도 1년 차에 이미 렌탈보다 저렴하다. 게다가 정기 배송 신청하면 필터도 알아서 오니 신경 쓸 게 줄었다.

물맛은? 놀랍게도 렌탈 정수기와 거의 차이 없었다. 물론 UV 살균이나 자동 세척 기능은 없지만, 그냥 마시는 물로는 충분했다. 심지어 공간도 덜 차지한다.

단점은 있다. 물세기 조절이 처음엔 어려웠고, 초기에 누수가 생겨 실리콘 테이프로 보수했다. 정기적으로 상태를 확인해야 하니 아예 무관심하긴 어렵다. 하지만 그 정도 손질이 가능한 사람이라면 자가 설치는 가성비 최고다.

내 기준엔 자가 설치 - 구매 - 렌탈순으로 추천한다. 직접 관리에 조금이라도 자신 있다면 자가 설치가 돈도 시간도 아낄 수 있는 최선의 선택이다.

필요 없는 기능, 과한 요금에 이젠 속지 말자. 직접 선택하고 직접 관리하는 시대, 정수기 하나부터 제대로 따져봐야 한다.


* 인공지능이 편집한 이미지(Edited with AI)